안녕하세요! 국제테이핑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일본에서 시작 된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요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키네시올로지 테이핑의 역사
1970년대 일본에서 가세겐죠에 의해 운동학적 테이핑 요법(taping therapy)인 ‘키네시올로지 테
이핑의 이론’을 정립한 탄력 테이핑 요법과 다나까에 의해 반응점(trigger point)에
대한 ‘비탄력 격자형(spiral) 테이핑 요법’이 고안되었습니다. 그 후 1980년대 정형외과 의사인 아리가와 이사오가 가세겐죠와 다나까신꼬의 테이핑법을 사사하여 근육의 병태생리와 근육작용의 원리를 위주로 하여 접촉 또는 압박 검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업적을 이뤘습니다.
대한민국에는 1990년대 초반 일본에서 전래되어 1990년대 말부터 정형외과와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등의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학술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포츠 경기단체를 통해 선수와 지도자,
스포츠 동호인들과 일반인들에게까지 크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2. 키네시올로지 테이핑의 이해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요법의 기전
인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조직은 근육입니다. 근육 조직은 몸 전체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골격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모든 근육은 골격에 붙어 있고, 이것을 피부가 감싸고 있습니다. 또한 공간(강=속공간) 기관의 벽이나 혈관 벽에도 붙어 있습니다. 근육의 기능은 위치에 따라 다른데, 근육이 체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수축성(contractility)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육은 인체의 여러 부위를 움직이는 기능이 있어서 인체에
있는 관의 지름을 변화시켜 체외로 노폐물을 밀어내며, 골격근을 수축시켜 운동을 합니다.
이때 많은 열(energy)을 생산하여 굴곡, 신전, 외전, 내전, 회전 등을 자유롭게 하도록 도와줌으로써 근육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요법이 바로 ‘테이핑 요법’이다. 다시 말하면 효율적인 신체 운동과 통증이 있는
신체의 기능 회복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테이핑 요법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어느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면 작용근을 찾아 근육을 최대한 늘리고(스트레칭) 테이프는 늘리지 않는 상태에서 붙여 피부와 근육 사이의 공간을 커지게 함으로써 그 공간으로 혈액이나 림프액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근육의 운동기능을 부활시켜 정상적인 신체 활동을 돕는 데 있습니다.
또 하나의 이론은 근육과 건(힘줄)의 지나친 수축을 막아주는 이론, 즉 골지건의 법칙과 근육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예방하여 근육의 긴장성 조절·자세 조절·신체의 균형(평형) 조절, 즉 근방추 반사 이론을 통하여 통증의 해소와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원리입니다.
찜질약(파스 성분)과 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차이
어깨 결림이나 요통으로 고생하는 사람 중 대다수가 한번쯤은 판매되고 있는 찜질약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이들 찜질약의 대부분은 쿨(cool) 타입이어서 붙이면 시원한 느낌을 가지게 됩니다. 그 목적은 통증 부위의 열을 제거하는 것으로, 바르고 나면 산뜻한 기분을 느낄 수 있고 진통 억제 효과는 있으나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인공근육막 테이프(Artificial Myofascia Tape)는 긴장된 근육에 이완력을 발휘하고, 병변으로 약해진 근육에 수축력을 발휘하므로 증상이 개선되고 마음이 편안해 지는데, 이것이 곧 증상의 개선으로 연결되는 것입니다.
키네시올로지테이프의 성분 및 특징
1)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성분
찜질약이나 파스류는 그 자체에 약 성분이 있으나, 테이프는 약 성분을 가지고 있지 않고, 100%의 아크릴 풀이 도포되어 있습니다. 무명천으로 만든 제품이어서 약 성분에 의해 통증이나 증상을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에 붙여 인체 본래의 생체 반응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병이나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테이핑을 하면 보조 근육이 형성되어 근육이나 체액의 활동을 촉진시켜 통증의 원인인 근육의 염증·이완과 긴장 완화, 신경의 흩어짐 예방, 염좌 및 어긋난 관절의 교정 등을 돕습니다. 키네시올로지테이프의 비밀은 특수한 신축성과 복원성에 있는데, 이것은 인체 피부의 신축률과 가장 가깝게 설계하여 직조되었기 때문입니다.
2)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특징
키네시올로지 테이프 붙일 때는 테이프를 늘려서 근육에 붙이는 것이 아니라, 먼저 근육을 늘린 상태(스트
레치)에서 테이프를 붙입니다. 특히 키네시올로지 테이프는 자체에 신축성과 복원성이 있어서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킨 자세에서 붙이면 피부를 당겨 근육의 정상적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통증 부위에 테이프를 아무렇게나 붙여서는 안됩니다. 최대한 발통점(trigger point)을 찾아서 붙여야 그 효과가 탁월합니다. 예를 들면 과도한 운동이나 운동 부족인 사람이 갑자기 몸을 무리하게 사용한 후의 통증 발생요인은 신경성·혈관성·내장성 등이므로, 찜질약이나 파스를 통증 부위에 붙이면 완화됩니다.
그러나 어깨 결림의 원인이 내장 이상에 있다면 어깨 주변뿐만 아니라 내장 위의 근육에 테이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이와 같이 키네시올로지 테이프는 파스류와는 근본적으로 성질과 효과가 다릅니다. 간혹 테이핑 요법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나, 붙이는 방법 자체는 간단하고 여러 가지 응용 방법을 이해하면 누구나 붙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파스류나 찜질약에 의존하던 사람이라면 꼭 한번 키네시올로지 테이프를 한 번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요법의 원리
1)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전의 검사방법
» 가장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병력을 충분히 듣고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 접촉 검사는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의심스러운 근육, 즉 통증의 감소나 관절가동범위(ROM)의 증가가 예상되는 근육에 압박을 가하거나 접촉함으로써 효과가 있는 근육을 선정하여 붙입니다. 이때 시술자는 검사한 압박이나 접촉의 강약에 따라 테이핑합니다.
» 급성인 경우에는 청취한 병력을 바탕으로 하여 자세한 검사를 시행합니다.
2) 기본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요법
» 검사에서 통증이 감소하거나 없어지는 동작 또는 방향으로 테이핑합니다.
» 테이핑의 붙이는 방향은 반드시 몸의 균형 방향, 즉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테이핑합니다.
» 급성기에는 접촉 검사 없이 밸런스 형성을 근육의 주행 방향을 따라 해당 근육의 기시부에서 정지부까지 근육을 최대한 늘린 상태(스트레칭)에서 테이핑 합니다.
테이핑 요법은 그 방법이 간단해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효과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그 첫 번째 효과는 혈액과 림프액, 조직액 등의 순환을 돕는다는 것입니다. 우리 몸은 몸에 이상이 생기면 그 이상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항체와 항원이 싸우면서 염증이 생기게 되는데, 테이프가 붙어있는 동안에 피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수명이 다된 세포와 국소에 고여 있던 조직액이나 내출 액등을 빨리 배출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
두 번째 효과는 근육의 기능을 바로잡고, 2차 손상을 예방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피부와 근육은 날씨가 더워지면 이완하고 추워지면 수축하는 등 때에 따라 충격과 손상을 받아 틀어지거나 찌그러지기도 하는데 테이프가 갖고 있는 복원성으로 피부와 근육이 자극을 받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통증을 완화합니다. 또한 통증이 있는 근육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주위의 다른 근육이 대신 작용하여 그 부담으로 2차 손상이 발생하는데,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통증 근육의 긴장과 신체의 균형을 조절해 2차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세 번째는 관절의 어긋남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우리가 간혹 견비통이나 무릎 통증을 겪어 병원이나 의원을 찾아가 X-ray나 CT를 찍어 보는데, 많은 경우 의사로부터 별다른 질병이 아니니 휴식을 취하라는 처방을 자주 듣곤 합니다. 이는 관절부위의 근육이 과긴장 되어 관절이 조금 어긋나는 경우인데, 이 경우 X-ray나 CT상으론 보이지 않지만 조금의 어긋남이 환자에게는 큰 통증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근육의 움직임이 원상태로 되돌아옴으로 관절이 어긋나는 것을 잡아 줄 수 있습니다.
네 번째는 근육의 피로를 경감하여 준다는 것입니다. 지속적인 운동 및 노동 시 발생하는 근육의 피로 현상을 테이핑에 의해 분산 시켜줌으로서 부상의 위험을 줄여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적인 통증에 테이프를 붙이고 운동을 하면 근육강화와 수술 후 재활치료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종류
키네시올로지 테이프는 사용 용도와 붙이는 부위에 따라 폭 2.5cm, 3.75cm, 5cm, 7.5cm 4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폭 5cm 테이프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살색 테이프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가장 많이 쓰이고, 적색과 청색은 색깔에 의한 시각 효과 외에 살색 테이프와 질적인 면이나
성분, 두께, 탄력, 접착력에서 큰차이는 없습니다.
테이프는 신체 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나 길이로 잘라서 사용합니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프의 형태
테이프의 형태는 근육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 I자형, Y자형, X자형, 지선형, 쐐기형, 쐐기변형Ⅰ, 쐐기변형Ⅱ 등으로 잘라서 사용하는데, I자형과 Y자형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시의 주의사항
» 테이프는 2~3일 간격으로 붙이되, 하루 정도 근육을 쉬게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때는 붙이는 주위를 청결하게 해야 합니다.
» 테이프는 근육을 늘려서(스트레칭) 붙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거동이 불편할 때는 그 자세에서 15~20% 정도 늘려서 붙입니다.
» 알레르기성 체질의 환자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 후 붙이거나 심하면 중지하도록 합니다.
» 떼어낼 때 확 잡아 떼어내는 것은 금물입니(서서히 제거한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시의 순서
① ‘어떻게 움직일 때 아픈가?’를 살핍니다.
② 가동력 검사(능동, 수동)에 의하여 테이핑을 합니다.
③ 가장 편안한 자세를 찾거나 주된 통증이 이완되는 자세를 찾아 테이핑합니다.
④ 저항 검사에 의하여 분석을 합니다.
⑤ 질환별로 감별하여 진단하고 원인을 분석해 봅니다.
⑥ 척추 균형이나 운동기능학적 측면에서 균형을 이용하여 테이핑합니다.
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키네시올로지 테이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은 스포츠 테이핑과 키네시올로지 테이핑을 나누어서 부위별로 포스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육관련 안내 사항은
국제테이핑(국제선수트레이너협회) 홈페이지 http://www.kjtaping.co.kr/ 를 참조하세요.
☎️교육관련 문의 051)782-9615
✅키네시올로지테이프, 스포츠테이프, 스포츠용품, 스포츠식품, 재활기구 등이 필요할 땐?
국제테이핑(INSMEDIC) 제품 보러가기 - 네이버에 '국제테이핑' 을 검색하세요
국제테이핑 - 쇼핑몰 http://insmedic.co.kr/
국제테이핑 - 스토어팜 https://smartstore.naver.com/insmedic
국제테이핑 페이스북 보러가기 https://www.facebook.com/insmedic/
국제테이핑 인스타그램 보러가기 https://www.instagram.com/insmedic/
국제테이핑 홈페이지 http://www.kjtaping.co.kr/
국제테이핑 - 국제선수트레이너협회
스포츠테이핑, 바른체형관리사, 운동처방관리사, 선수트레이너 교육 및 지도 단체
www.kjtaping.co.kr
'스포츠 테이핑 > 테이핑 포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테이핑] 아킬레스힘줄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0) | 2025.02.11 |
---|---|
[국제테이핑] 발목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볼까요? (0) | 2025.02.04 |
[국제테이핑]스포츠 테이핑의 기본 테크닉 (0) | 2025.01.28 |
[국제테이핑] 스포츠 테이프의 사용방법은? (2) | 2025.01.23 |
[국제테이핑] 스포츠 테이핑 시 사용되는 장비는? (0) | 2025.01.21 |